본문 바로가기

책 장

모파상 간단 정리

기 드 모파상

 

생애

 

자연주의 사조의 대표적인 작기인 기 드 모파상(1850-1893)은 노르망디의 디에프 근처의 밀로메닐 성관에서 출생했다고 호적에 적혀 있으나 출생지에 관하여 의문을 갖는 사람도 많다. 12살 되던 때 양친이 별거에 들어가는 바람에 어머니, 동생 에르베와 함께 에트르타의 별장으로 이사했다. 1863년에 이브트의 신학교에 입학했으나 2년만에 퇴학, 소설가 플로베르를 스승으로 문학에 뜻을 두었다.

 

19세에 바칼로레아(대학 입학 자격 시험)에 합격했으며 20세 때에는 프러시아와의 전쟁에 참전했다. 22세 때에 해군성에 취직을 하면서 파리로 이주했고, 이때부터 일요일마다 플로베르를 방문하며 본격적인 문학 수업을 받았다. 플로베르를 통해 에밀 졸라 등 문인들과 교우를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다.

 

1876년에 시 '물가'로 처음으로 시재를 인정받았으며 80년에 졸라가 주재하는 문집 <메당의 저녁>에 출세작 <비곗덩어리>를 발표했다. 안질 등 신경 계통의 병 때문에 알제리, 브루타뉴 등을 여행하는 틈틈이 작품을 발표했다. 그가 결정적으로 문명을 얻은 것은 장편 소설 <여자의 일생>(1883)을 발표하면서부터였다. 톨스토이는 이 작품에 위고의 <레 미제라블> 이래 최고의 명작이라는 찬사를 바쳤다.

 

그는 러시아 태생의 여류 화가 마리 바시키르체프 등 연인을 여럿 두었으며, 장편 <벨 아미>의 성공으로 요트를 사서 '벨 아미'라고 명명한 후 이탈리아 등지를 여행했다. 다작으로 인해 안질과 불면에 시달리면서도 장편 <죽음처럼 강하다> 등 히트작을 발표했으나 갑작스런 발작으로 친구들을 놀리곤 했다. 42세 되던 해 페이퍼 나이프를 이용, 자살을 기도해 파시의 정신 병원에 수용됐으며, 다음 해에 병원에서 일생을 마쳤다.

  

작품

 

모파상의 전 작품은 그의 세계관 내지 인생관을 반영한다. 초기의 통렬한 풍자, 다음에는 감상과 연민, 최후에는 개인적인 불안과 공포, 그리고 처음부터 그의 작품에 흐르는 구원 없는 회의주의이다. 모파상의 문학은 결정론적인 인간관에서 오는 짙은 염세주의의 근저 위에 구축되어 있다.

 

<여자의 일생> : 모파상의 처녀작(장편)으로 1883년 작이다. 여주인공 잔은 냉혹한 남편에게 버림받고 이어 자식에게도 배신당한다. 그녀와 나란히 늙어가는 하녀 로잘리는 이렇게 말한다. "인생이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즐거운 것도 불행한 것도 아니로군요." 여주인공 잔의 암담한 회색으로 물든 길은 결국 근대 생활에 대한 가혹한 판결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증오하고 조소할 만한 진실 이외에 동정할 만한 진실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소설은 정확하게 시대를 설정한 풍속 소설로 읽을 수도 있다. 이야기 첫머리에 1819년이라는 시대가 명시되고, 잔과 쥘리앵이 신혼 여행을 위해 코르시카로 건너갈 때에는 증기선이 다니기 시작하고 있었다. 이후 잔이 아들을 찾아 파로 나갈 때는 "6년 전부터 화제가 되어 있던 철도가 파리와 르 아브르 사이를 왕래하고있었다.

모파상은 인간 마음의 날카로운 탐구자였다. 직접적인 심리묘사를 피하더라도 인간의 세계가 감추고 있는 뜻밖의 진실, 특히 행위를 통해 표출되며 인간 감정을 초월하는 환멸적 작용의 탐구에 몰두하는 태도가 이 작품에 현저하게 나타나 있다. 하녀 로잘리가 하는 작품의 마지막 대사는 지당하다 하더라도, 잔은 이 말로 치료받을 수 없는 고독감에 사로잡혀 있고, 인생에 대해 옳고 그른 판단을 내리지 못할 만큼 타격을 받고 있었다.

 

<벨 아미> : 자신의 육체적인 아름다움과 끝까지 밀고 나가는 뻔뻔스러운 성격을 이용하여 언론계(신문)에서 성공하는 협잡꾼이 그려져 있다. 주인공 뒤루아가 관계하는 <라 비 프랑세즈>지는 유태인 사장 왈테르를 중심으로 하는 악덕 정치가들의 모리를 위해서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파상은 패정적인 움직임에 대해서는 평론을 생략하고 있다. 반면에 모파상은 <벨 아미>에서 종래 자연파에 의해 경시되었던 심리 연구를 도입한다. 그리고 벨 아미의 냉혹한 이기주의와 동물적인 욕정에 넘치는 파리 사교계가 선명하게 부각되어 있다. 모파상의 장편 중에서 가장 자연주의적인 요소가 강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사회 소설의 색채가 짙다. <여자의 일생> 이상으로 소설 세계가 확대되어 무대가 노르망디에서 파리로 옮겨진다. 특히 <벨 아미>에서는 작자의 염세적인 인생관과 사물을 관찰하는 예리한 '작가의 시각'이 전편에 번뜩이며, 당시 프랑스 사회의 추악상과 권세욕에 들뜬 인간형의 표본인 주인공 뒤루아의 성격 및 행적의 추적, 문란한 사회 풍속도가 있는 그대로 담겨있다.

 

<죽음처럼 강하다> : 이루지 못할 사랑, 사랑해서는 안 될 사랑, 그것을 잘 알면서도 숙명적으로 그 사랑을 버릴 수 없어 자살을 하는 이야기다. 그러나 자살했다고 해서 그 사랑도 함께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차라리 죽음의 길을 택함으로써 영원한 사랑의 삶을 택한 주인공 올리비에의 사랑은 '죽음처럼 강한' 것이었다. 이것은 사적인 심리 소설로서, 예술가를 장식물로 환영하는 파리 사교계를 무대로 하고 있다. 늙어가는 것에 대한 화가 베르탱의 슬픔은 두말할나위없는 모파상 자신의 피로를 느끼게 한다. 작가는 초기 작품에서 보여준 냉철한 태도를 다소 잃고 신경 과로와 질병에서 오는 초조감을 보이고 있으며, 작품 속에 보다 자기의 주관을 주입시키고 있다. 고뇌하다가 자살하는 올리비에의 모습은 흡사 모파상 자신의 말년의 모습이기도 하다.

 

생애문학론

 

모파상은 소시민의 생활 주변과 일상, 사회의 병폐를 가차없이 폭로하고 야유하는 것만이 "인간의 상태를 일체의 편견 없이 충실히 묘사하는 소설가의 임무"라고 주창한 졸라의 이론을 문학에서 극대화했다. 모파상은 졸라의 친구로서 자연주의의 전성기에 문단에 등장했지만, 문학사적으로 본다면 졸라보다는 플로베르의 후계자다. 졸라를 중심으로 한 문학 서클인 '메당의 무리'가 제각기 모아서 낸 단편집 <메당의 밤>에 발표된 <비곗덩어리>는 단편 작가로서 그의 위치를 결정해주었다. 스승 플로베르는 이 작품에 대해, 구상이 독창적이고 배경이나 인물도 실감이 나며 심리 묘사도 적확하고 문장도 나무랄 데 없다고 절찬을 했다.

 

사실주의 혹은 자연주의란?

 

  자연주의와 리얼리즘(=사실주의)은 그 철학적 기반이 같아서 그 둘을 분명하게 구별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둘을 구분하는 점들이 분명히 있다. 리얼리즘과 자연주의는 모두 실증주의적 정신과 방법에 따라 사물을 객관화시키고 주관을 최대한 배제한 가운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냉엄하게 관찰하여 사실과 진실을 기록한다. 와중에 '자연주의' '자연과학적인 방법'이나 '실험적인 방법'을 강조하여 문학의 방법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 리얼리즘과 구분되는 점이다.

  자연주의는 훗날 비판의 대상이 된다. 즉 인간의 삶을 환경이나 유전의 작용에 의한 결과로 파악함으로써 문학을 '환경, 유전 결정론'에 빠뜨렸으며 인간을 생명이 없는 무감각한 사물의 수준으로 전락시켰다는 비판이다. 기계적 결정론이라는 것이다. 자연주의 문학은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사회, 제도 사이의 관계성과 상호작용을 무시한다. 인간의 주체적 의지를 배제하고 인간의 본절적인 특성을 제거하여 사람을 비인간적인 동물적인 것으로 한정한다는 비판이었다. 인간의 본성이 스스로 결단하고 노력하는 존재가 아니라 환경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배당한다고 해석함으로써 결정론적 세계관에 빠지는 점 역시 비판 받았다.

  졸라는 리얼리즘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자연주의를 주장하는데 그의 자연주의와 발자크의 리얼리즘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차이는 경험과 실험의 방법적인 부분에 있다. 경험은 체험과 관찰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며, 실험은 거기에 덧붙여 적극적으로 어떤 목표를 세우거나 어떤 가정을 설정해 놓고 해부와 분석에 읳 그 가정의 진위를 가리고자 한다.

 발자크가 제1제정과 왕정보고 시대의 프랑스 사회를 냉철한 관찰과 객관성에 입각하여 묘사했다면, 졸라는 제2제정 시대의 사회 전반을 자연주의적 수법에 따라 과학적, 실증적으로 파헤친다. 졸라는 인간 군상의 어둡고 음습한 부분까지도 여과 없이 세밀하게 묘사한다.